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의학용어119

인체의 pH와 산-알칼리 균형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중요성 인체는 어떻게 산성과 알칼리 균형을 유지하는가?혹시 알고 계셨나요? 사람의 몸은 기본적으로 약한 알칼리성 상태를 유지해야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혈액의 pH(산성도)는 약 7.35~7.45 범위에서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것을 항상성이라고 말합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산성화되거나 알칼리화되어 신체 기능에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여기서 pH 7은 중성, 그보다 낮으면 산성, 높으면 알칼리성입니다. 1부에서는 몸의 PH수치에 따른 구분을 설명하고 2부에서는 몸이 산성과 또는 알카리(염기)화 되었을 때 어떤 몸의 이상 증상이 일어나는지를 알아 보겠습니다. pH 수치에 따른 산성과 알칼리성 구분pH 0~6.9: 산성pH가 7보다 낮은 수치일 때, 그 용액은 산성입니다. pH 수치가 낮을수록 산.. 의학용어 2024. 9. 14.
[의학 용어] 항상성, 원리와 무너졌을 때 일어나는 일들 항상성이란 무엇인가?항상성(homeostasis)은 생체 내부의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생물의 능력을 말합니다. 외부 환경이 변하더라도 내부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메커니즘은 생명 유지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항상성은 체온, 혈당, 혈압, 체액 균형, 산-염기 균형 등 여러 생리적 변수를 조절하여 신체가 최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항상성의 개념은 물리학자인 클로드 베르나르(Claude Bernard)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고, 이후 생리학자 월터 캐논(Walter Cannon)에 의해 ‘항상성’이라는 용어가 정립되었습니다. 캐논은 신체가 항상성을 유지하는 과정을 동적 평형으로 설명했는데, 이는 몸이 다양한 외부 변화에도 불구하고 내부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능력임을 뜻합니다. [주.. 의학용어 2024. 9. 14.
단백질 종류와 분류 단백질(protein) 종류와 분류 오늘은 단백질의 정의와 분류를 공부해 봅시다. 우리는 단백질 하면 일단 고기라고 생각하지만 단백질은 보다 복잡하고 긴요한 성분 중의 하나입니다. 단백질은탄수화물, 지질을 구성하는 탄소, 수소, 산소 외에 질소를 함유합니다. 단백질의 기본 단위는 아미노산(amino acid)입니다  단백질을 완전히 가수 분해하면 암모니아와 함께 생성된다. 화학적으로 아미노기와 카복시기를 포함한 모든 분자를 지칭하기도 하며 화학식은 NH2CH RnCOOH(n=1~20)입니다. 단백질은 크게 구성성분, 영양적 기능, 생리적 기능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화학적 분류 단백질 결합 방식에 따라 단순 단백질, 복합단백질, 유도 단백질로 분류됩니다. (1) 단순 단백질 단순 단백질은 아미노산.. 의학용어 2024. 7. 28.
감염병 구분 감염병이란? 감염병은 병원체(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기생충 등)에 의해 전파되는 질병을 일컫습니다. 이러한 병원체는 사람 또는 동물의 몸에 침입하여 번식하고, 감염 부위에서 염증과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감염병은 직접적인 접촉, 공기 중의 비말, 수포, 물, 음식물, 벌레 등을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전염병의 전파 경로는 감염된 개체나 환경에서 출발하여 건강한 개체로 전이될 수 있는 접촉, 비말, 진액, 혈액 등의 접촉을 포함합니다. 감염병의 증상은 감염된 병원체의 종류와 감염 부위에 따라 다양하며, 열, 피로, 발진, 구토, 설사, 기침,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일부 감염병은 경증한 증상을 유발하거나 무증상일 수도 있지만, 다른 감염병은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의학용어 2023. 5. 21.
질병 사망 원인 순위 종류 질병 사망 원인 순위 종류 질병관리청에서 공개한 2021년 질병 관련 사망 원인에 따르면 사망 원인의 1위는 만성질환, 2위는 감염성 질환입니다. 세부적으로 알아봅시다.. 1위 악성신생물(암) 1위는 암입니다. 26%에 이릅니다. 암은 모든 암을 포함합니다. 암 사망 순위는 1위는 폐암이며, 두 번째는 간암, 세 번째는 대장암, 네 번째는 위암, 다섯 번째는 췌장암입니다. 폐암은 압도적으로 많은데, 이유는 폐암의 경우 생존율이 낮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폐암의 70%는 흡연관 직간접으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비흡연자에 비해 흡자의 폐암 발생률이 무려 10배 이상 높습니다. 하지만 여성 폐암 환자의 80%는 흡연과 연관이 없는데 조리 시에 발생하는 연기나 연소물 때문입니다. 암 사망 순위 1위 폐암, 2위 간.. 의학용어 2023. 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