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375 콜라겐(collagen) 콜라겐(collagen) 콜라겐으로 무엇인가? 콜라겐 또는 콜라젠은 단백질의 일종으로 교원질 또는 아교질이라고 부른다. 결합 조직의 주성분이며, 뼈와 피부에 주로 있지만 관절 각 장기의 막, 머리카락 등 우리 몸 전체에 분포되어 있는 성분이다. 콜라겐의 특징 콜라겐 단백질은 많은 종류가 있는데 현재 모두 28종류가 발견되었다. 그 중에서 사람들에게 흔히 보이는 콜라겐은 5종류이다. 콜라겐은 종류에 따라 뼈와 피부, 연골, 결합 조직, 등을 구성한다. 대개 동물의 가죽이나 생선의 비늘도 콜라겐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산이나 염기처리를 해야 분해되어 젤라틴으로 변한다. 젤라틴에 다른 성분이 함유되어 아교라 부른다. 콜라겐은 자기졸비에의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생체조직의 구조적지.. 건강상식 2021. 4. 17. 더보기 ›› 봄에 걸리기 쉬운 질병 봄 질병 봄에 걸리기 쉬운 질병들입니다. 일반적으로 환절기에 속하는 봄에는 뇌혈관 관련 질병과 알르레기 질병 등이 많습니다. 1. 혈관 관련 질환(뇌졸증) 뇌졸증, 뇌경색 등 허열성 뇌졸증 출혈성 뇌졸증 봄에 뇌혈관 질병이 많이 이유는 꽃샘 추위 때문입니다. 겨울에는 춥기 때문에 옷을 따뜻하게 입지만 봄은 낮에는 덥고 밤에는 기온이 뚝 떨어져 뇌혈관 질병을 가진 분들에게 치명적인 계절입니다. 종종 기온이 뚝 떨어지는 꽃샘추위로 인해 질병에 걸리게 됩니다. 외출 시에 덥더라고 가벼운 외투를 가지고 다니는 것이 좋습니다. 체온이 떨어질 때 껴입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증상 안면마비 편측마비 구음장애 2. 비염, 결막염 꽃가루와 황사, 미세먼지로 인한 질병 3. A형간염 오염된 식수나 집단생활 등으로 온다. 봄.. 건강상식 2021. 4. 15. 더보기 ›› 가래 생기는 이유와 치료법 가래 생기는 이유와 치료법 가래는 왜 생기는 걸까요? 평상시에 잘 없던 가래가 어떤 날은 갑자기 많아집니다. 오늘은 가래가 왜 생기는지? 어떻게 치료하는 지를 알아 봅시다. 몸이 피곤하거나 감기에 걸리기 직전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래가 생깁니다. 대체로 기침을 하다가 생기기도하고 크게 몸의 변화가 없는데 가래가 생기기도 합니다. 정의와 용어 가래는 전문용어로 말로 객담(sputum)이라고 합니다. 가래는 기관지와 폐에서 생기는 끈적끈적한 액체입니다. 모든 사람에게 있는 것이고, 건강한 사람에게도 평상시에 조금씩 있습니다. 건강한 일반인들도 하루에 100ml정도 생긴다고 합니다. 하지만 침을 삼킬 때 함께 삼키는 바람에 잘 느끼지 못하죠. 가래는 95%의 수분과 나머지 5%안에 지질, 무기질, 단백질 등이.. 건강상식 2021. 4. 14. 더보기 ›› 대상포진(Herpes zoster) 초기증상과 치료법 대상포진(Herpes zoster) 초기 증상과 치료법 1. 대상포진이란? 대상포진은 수도-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소아기에 수두를 일으킨 후 신경 주위 무증상으로 남아 있다가, 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 VZV)에 대한 면역력이 약화될 때 신경을 타고 나와 피부에 발진을 일으키는 통증 유발 질환이다. 2. 대상포진 용어 帶狀疱疹 herpes zoster zoster shingles 3. 대상포진 의료학적 분류 분류 감염성 질환, 피부질환 발생부위 피부 증상 두통, 딱지, 발진, 환부 통증 진료과 피부과 관련 질환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 수두, 구순포진 4. 대상포진 일반 개요 대상포진은 젊은 사람들에게 거의 일어나지 않고 대개 면역력이 떨어지는 60세 이상 성인에게서 주로.. 건강상식 2021. 4. 3. 더보기 ›› 이석증(耳石症) 원인과 치료법 이석증 원인과 치료법 이석증은 달팽이관의 이석이 움직여 어지럼을 느끼는 현훈이다. 이석증 耳石症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1. 이석증이란 무엇인가? 수년 전에 함께 일을 하던 지인이 일을 하다 주저앉아 꿈쩍을 하지 않아 깜짝 놀란 적이 있습니다. 병원에 가니 '이석증'이라고 했답니다. 평상시에는 잘 모르는데 앉았다가 일어서거나 걷는 도중에 갑자기 어지럼증이 일어난 주저앉기도 한답니다. 병원에서는 친구에게 스트레스 받는 적이 있냐고 묻고는 이주 정도의 약을 주고 경과를 보자고 했습니다. 최근 몇 분이 병원에서 이석증이라고 판정을 받고 집에서 일을 못하고 쉬는 분이 있어 이석증을 앓고 있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오늘은 이석증이 뭔지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합니다. .. 건강상식 2021. 4. 2. 더보기 ›› 역류성 식도염 증상과 치료법 역류성 식도염 증상과 치료법 역류성 식도염(reflux esophagitis , 逆流性食道炎)은 위에 내려간 내용물이 역류하여 다시 식도로 올라와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 1. 역류성 식도염이란 오늘은 건강한 몸을 위해 역류성 식도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역류성 식도염(reflux esophagitis , 逆流性食道炎)은 한 마디로 위에 내려간 내용물이 역류하여 다시 식도로 올라와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합니다. 사람이 음식물을 씹어 삼키면 음식물은 식도를 통해 위로 내려갑니다. 식도의 길이는 성인 기준 25cm입니다. 3개의 근육층으로 되어 있고, 4개의 협착부가 있습니다. 입에 음식을 넣고 씹다 삼키면 구강에서 인두(인후)까지 넘어 갑니다. 그럼 가장 상단에 위치한 식도 괄약근이 열리면서 식도.. 건강상식 2021. 4. 2. 더보기 ›› 노로바이러스 증상과 원인 치료법 노로바이러스 증상과 원인 치료법 노로바이러스(Norovirus)는 식중독을일으키는 세균 중의 하나이며, 겨울에 자주 일어난다. 정식 명칭은 노웍바이러스(Norwalk virus)이며, 겨울철 굴에서 자주 나온다고 한다. 겨울이 되면 조심해야할 것이 있습니다. 보통 굴에서 나오는 노로바이러스입니다. 오늘은 노로바이러스(Norovirus)에 대해 알아봅시다. 1. 노로바이러스 개요 노로바이러스(Norovirus)는 한 마디로 식중독을 일으키는 세균입니다. 겨울에도 식중독이 일어나나요? 네! 겨울에도 식중독이 일어납니다. 그 주범이 노로바이러스(Norovirus)입니다. 정식 명칭은 노웍바이러스(Norwalk virus)입니다. 처음으로 발견된 지역이 미국 오하이오 주 노웍(Norwalk)이기 때문입니다. 2.. 건강상식 2021. 4. 2. 더보기 ›› 간(Liver) 간(Liver) 간은 해독작용을 하는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배 안에 기관이며 소화기에 속합니다. 간은 복부 오른쪽 위 횡격막 아래에 위치합니다. 적갈색을 띄고 있습니다. 우리 몸에서 가장 크고 복잡한 장기입니다. 4개의 엽으로 이루어져 있고, 간동맥과 간문맥으로부터 혈액을 공급 받아 지탱합니다. 소화작용과 호르몬 대사, 해독작용, 살균 작용 등 다양한 기능을 감당합니다. 전체적으로 몸의 더러운 것들고 해로운 것들을 깨끗하게하는 일을 합니다. 간의 대사 기능 탄수화물 대사 지방 대사 단백질 대사 담즙 생성과 배출 의학용어 2021. 3. 29. 더보기 ›› 담석증cholelithiasis 담석증cholelithiasis 담석증은 담낭(쓸개)에 저장되어 있던 액체가 단단하게 굳어져 담도에 결석이 생기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인구의 약 4%가 담석증에 걸린 것으로 보고됩니다. 담낭은 간 밑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간내담관과 연결되어 있고, 십이지장으로 담즙을 흘려보내 소화를 돕습니다. 담낭에서 십이지장으로 답즙을 흘려 보내는데 중간에 관 역할을 하는 총담관을 통해 이동합니다. 담즙은 하루에 약 500-1200ml정도 생성됩니다. 물, 콜레스테롤, 지방, 담즙산염, 단백질, 빌리구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담즙산염은 지방을 분해하는 일을 합ㄴ디ㅏ. 빌루주빈은 담즘과 대변이 갈색을 띄도록 만들어 줍니다. 이때 담즙이 너무 많은 콜레스테롤, 담즙산염 또는 빌리루빈을 포함하게 되면 단단하게 되어 담석이 .. 의학용어 2021. 3. 29. 더보기 ›› 췌장pancreas 췌장 pancreas 췌장은 소화를 담당하는 기관입니다. 척추동물의 소화관에 붙어 있으며 간 다음으로 큰 샘성 기관입니다. 몸의 해독 작용을 하는 간과 가까이 있습니다. 췌장은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소화액인 췌액을 분비하는 외분비부와 혈당 수준을 조정하는 인슐린과 글루카곤을분비하는내분비부가 있습니다. 의학용어 2021. 3. 29. 더보기 ›› 췌장암 초기증상과 예방법 췌장암 초기증상과 예방법 우리나라도 선진국 대열에 들어가니 이전에 없던 병들 또는 미미했던 병들이 눈에 띄게 많아지고 있습니다. 당뇨나 뇌혈관 계통의 질병들이 그런 것이죠. 또 하나는 '암'입니다. 물론 초기진단율이 높아져 암발률이 높아진 건 사실이긴 하지만 음식의 변화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오늘은 가장 좋지 않는 암중의 하나인 췌장암에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국내 취장암 발생률은 전체 암 중에서 8번째입니다. 하지만 사망률은 5번째로 높은 나쁜 암중의 하나입니다. 보통 암은 생존률을 5년으로 잡습니다. 지난 20년 동안 위암 생존률은 43%에서 77%까지 올라갔습니다. 하지만 췌장은 8%에서 12%로 올랐을 뿐입니다. 그만큼 췌장암은 예우가 좋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췌장은 초기진단이 가장 중요하다.. 건강상식 2021. 3. 29. 더보기 ›› 해부학 기초 용어 해부학 기초 해부학은 생명체 내부의 형태와 구조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해부학은 인체, 동물, 식물해부학으로 나뉜다. 인체해부학(anthropotomy) 동물해부학(zootomy) 식물해부학(phytotomy) 여기서는 인체해부학만을 다룬다. ㄱ 근육계통 ㄴ 내분비계통 ㄷ 두경부 ㅁ 면역계통 몸통 ㅅ 소화계통 순환계통 신경계통 심장해부학 ㅇ 안면부 액외 신체 부위 외분비계통 인체의 크기 인체표면해부학 ㅍ 팔 팔다리 피부계통 ㅎ 하지 호흡계통 그 외 인체 의학용어 2020. 12. 24.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28 29 30 31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