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81 주일대표기도문 8월 다섯째주 주일대표기도문 8월 다섯째주 모든 만물 위에 뛰어나신 하나님 아버지를 찬양합니다. 영원토록 살아계신 주님께서 이곳에 임재하여 주셔서 믿음으로 드리는 예배를 받아 주옵소서.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8월 한 달을 잘 마무리하게 하심을 감사합니다. 흠 많고 부족한 저희들을 사랑하사 자녀 삼아 주셨으니 그 사랑을 잊지 않고 날마다 감사드립니다. 오늘 예배도 하나님께만 영광 돌리는 시간되기를 원합니다. 사랑의 주님, 하나님의 사랑을 생각하면 저희들이 감사와 찬양을 드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여름을 보내며 새로운 계절을 맞이하는 문 앞에서 지나온 시간들을 되돌아보니 감사한 일 밖에 없습니다. 세상은 코로나로 인해 요동치며, 태풍과 폭풍, 홍수와 난리라 시끄럽습니다. 그들을 생각하면 마음이 아프고, 안타까운 마음이 듭니.. 일상다반사 2021. 8. 25. 더보기 ›› 인슐린 저항성(당뇨와 인슐린의 상관관계) 인슐린 저항성(당뇨와 인슐린의 상관관계) 당뇨병의 원인은 인슐린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당뇨와 인슐린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뇨의 정의와 원인, 간단한 치료법에 대해 지난 글에서 소개했으니 오늘은 당뇨병과 인슐린의 관계를 파악해 보겠습니다. 이 문제를 정확하게 이해해야 당뇨의 치료에 더 근접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을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입니다. 당뇨병에 걸리는 다양한 이유들이 존재하지만 선천적인 이유를 제외한 나머지 이유는 거의 동일합니다. 하나는 과도한 당의 섭취이고, 다른 하나는 운동부족입니다. 그럼도 답도 나왔네요. 당을 줄이고 운동을 늘리면 됩니다. 우리가 당이라고 할 때 설탕만 생각하면 안 됩니다. 과일에 있는 단맛도 당이고, 밥을 먹을 때도 당이 .. 의학용어 2021. 8. 25. 더보기 ›› 당뇨 초기증상과 치료법 당뇨(糖尿) 초기 증상과 치료법 최근 들어 당뇨병이 일반적이 될 만큼 많은 사람들이 앓고 있습니다. 20년 전까지만 해도 당뇨병은 성인병의 일종으로 생각했지만 요즘은 어린아이와 젊은이까지 당뇨병을 앓고 있다고 합니다. 당요는 성인병 또는 선진국병이란 말이 있었습니다. 과도한 당의 섭의 섭취로 인해 일어난 병입니다. 도대체 당뇨병이 뭐 길래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갑자기 많아진 걸까요? 이제 그 이야기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1. 당뇨병이란 무엇인가? 당뇨병(糖尿病, diabetes mellitus, DM, diabetes) 먼저 당뇨병이 무엇인지부터 간략하게 살펴봅시다. 당뇨병의 한자어는 糖尿病입니다. 당뇨병 한자를 풀어보면 당(糖)은 사탕 또는 엿이고, 뇨(尿)는 오줌을 말합니다. 용어의 의미만을 본다면.. 건강상식 2021. 8. 25. 더보기 ›› 세포 내 공생설 세포 내 공생설(Endosymbiotic theory) 세포 내 공생설은서로 다른 성질의 원핵생물들이 생존을 위해 공생을 모색하다가 진핵생물로 진화하게 되었다 가설이다. 진핵생물이란 진핵세포를 가진 생물을 말한다. 다른 원핵생물에게 먹힌 원핵생물이 소화되지 않고 남아있다가 공생하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린 마굴리스(Lynn Margulis)가 처음 주장하였다. 린 마굴리스는 미국 매세추세츠 앰허스트대학의 교수이다. 대부분의 세포소기관과는 달리 이들이 핵의 지배를 받지 않고 (자체 DNA를 가지며 필요한 효소 일부를 자가 합성할 수 있다.) 독자적인 행동을 하는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유사성에 착안하여 그들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한 가설이다. 이 가설에 따르면 미토콘드리아는 호기성 세균(세균인 프로테오박테리.. 자연과학 2021. 8. 23. 더보기 ›› 부정맥의 원인과 치료법 부정맥(arrhythmia)의 원인과 치료법 1. 부정맥이란 심장 내에서 자발적이며 규칙적인 전기 발생을 통해 근육을 수축하는 전기 전달체가 원활하지 못해 심박동이 불규칙해지는 것을 부정맥이라고 한다. 2. 부정맥의 개요 심장은 태어나에서 죽을 때까지 멈추지 않는다. 하루도, 단 1초도 쉬지 않고 움직인다. 심장 안에는 심장 근육의 이완과 수축을 감당하는 전기 체계가 있다. 부정맥은 이러한 전기 체계가 이상이 생겨 심장박동이 불규칙하게 일어나는 것이다. 모든 부정맥이 심장과 관계 있는 것은 아니다. 심각한 심장질환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또한 환자가 인지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모른다는 것은 환자 자신이 자신의 몸의 이상 징후를 주의 깊게 살피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정상 심박수를.. 의학용어 2021. 8. 23.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51 52 53 54 55 56 57 ··· 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