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81

유방암 종류와 증상 유방암 종류와 증상 유방암은 유방에 생긴 암 덩어리를 말합니다. 유방은 유방의 유관과 소엽에 발생합니다. 소엽과 유관에 종양이 생기는 것으로 판별합니다. 상피내암은 종양이 아직 전이가 일어나지 않지 않은 상태지만 침윤성은 전이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유방암의 종류 유방암의 종류는 모두 네 가지가 있지만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유관에 암에 생길 경우 유관에 암세포가 머물경우 유관 상피내암이 되고, 유관을 침투해 들어가면 침윤성 유관암이 됩니다. 소엽에 암이 발생할 경우 소엽 상피내암이 되고, 이것이 번지면 침윤성 소엽암이 됩니다. 유관 상피내암 - 침윤성 유관암 소엽 상피내암 - 침윤성 소엽암 상피내암의 경우는 아직 전이가 일어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양호한 편에 속하지만 침윤성으로 넘어가면 좋지 않는 예.. 의학용어 2021. 6. 4.
항암성분(항산화제)과 식품 항암성분과 식품 항암작용을 하는 다양한 성분들이 존재합니다. 이곳에서는 항암작용을하는 성분과 식물들을 정리했다. 루테인 (Lutein) 루테인은 항염증 효능이 있는 카로티노이드의 한 종류이다. 루테인 눈의 황반에 존재하고 있어서 눈의 시력 저하를 막아 준다. 시간이 지나 시력하 저하될 때 루테인이 저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금치와 케일에 많은 성분이 들어가 있다. 리코핀 붉은색을 띠는 토마도와 수박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항산화 작용을 하며 항암효과가 있다. 리모넨 감귤과 레몬 등의 감귤계 과일에 많이 들어가 있는 리모넨은 향를 내년 성분이다. 항암작용을 하며 신진대사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한다. 진저롤(Gingerol) 진저롤은 생강에 많이 들어 있다. 생강은 기침에 좋은 식물이다. 생.. 건강상식 2021. 6. 3.
항암제의 종류 항암제의 종류 항암제 또는 항암물질(抗癌物質)이란 암세포가 생성되지 못하도록 억제하거나 암세포를 괴사 시키는 물질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화학요법이라 말하는 것으로 암을 치료 또는 생존연장을 위해 사용하는 요법이다. 항암물질이 많이 들어간 식품을 항암식품이라고 말한다. 암에 걸린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된 항암제의 구분과 종류이다. *이글들은 황인규의 를 참고하여 인용 정리한 것입니다. 항암제의 역사 화학 항암제 표적 항암제 면역 항암제 화학 함암제 화학 항암제는 항암제를 투여해 암세포를 파괴한다. 문제는 일반 세포도 함께 파괴한다는 점에서 굉장히 위험하다. 아직도 이러한 항암제를 사용하고 있다. 장단점이 많이 있기는 하지만 위험한 항암제인 것은 분명하다. 표적 항암제 표적은 말 그대로 암세포만을 표.. 의학용어 2021. 6. 3.
이모딘(emodin) 이모딘(emodin) 원자력의학원 방사선유전장원응용연구실 홍석일 박사팀은 항암물질인 이모딘이 암세포의 신생혈관생성을 억제하는 사실을 발견했다. 암세포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많은 포도당이 필요하다. 암세포는 일정한 양을 너머 많은 양의 포도당을 원하기 때문에 새로운 혈관을 만들어 다슨세포의 영양분을 자신의 것으로 가져온다. 이것을 암세포의 신생혈관생선(angiogenesis)이라고 한다. 알로에 등에 함유된 이모딘이란 성분은 암세포의 유전자 복제 과정을 억제한다고 보고되었다. 하지만 홍석일 박사팀은 암세포의 신생혈관생성 억제 기능까지 가지고 있음을 밝힌 것이다. 홍박사팀은 암세포가 신생활관을 만들기 위해 분비하는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를 처리.. 건강식품 2021. 6. 2.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플라보노이드는 강력한 항산화제로 알려져 있다.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는'노랗다'는 flavus라는 라틴어에서 유래한 단어다. 식물이나 군류의 이대사산물의 하나이다. 바이로플로보노이드, 이소플라보노이드, 네오플라보노이드는 모두 케톤 함유 화합물로 안토잔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플로보노이드가 낮는 약리작용으로는 항알레르기, 항염증, 항산화 작용, 항균, 항진, 항바이러스, 암 발생 저하, 설사 방지 등으로 알려져 있다. 플라보노이드가 많은 식품으로는 파슬리, 양파, 블루베리, 딸기 종류, 홍차, 녹차, 우롱차, 바나나, 감귤류, 은행, 적포도주, 다크 초콜릿 등이다. 플라보노이드 대분류 피토케미컬(phytochemical) 테르펜(terpene) 피토스테롤(phy.. 건강식품 2021. 6.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