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81

프로바이오틱스 종류와 기능 프로바이오틱스 종류와 기능 乳酸菌 / Lactobacillus 최근들어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관심이 지대해 지고 있습니다. 장내건강이란 표현도 등장했고, 특히 프로바이오틱스가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오늘은 화제의 중심이된 프로바이오틱스가 뭔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어떤 종류가 있는지 개략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프로바이오틱스란 무엇인가? 먼저 유산균과 프로바이오틱스가 뭔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유산균은 발효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유산을 생성하는 그람양성세균이며, 젖산균이다.” 말이 쉬운듯 어렵네요. 일단 그람양성세균이란 말에 주의해 봅시다. 한자로는 乳酸菌로 표기하고, 영어는 락틱 아시드 박테리아(lactic acid bacteria)입니다. 유산은 박테리아(bact.. 건강상식 2021. 6. 1.
공황장애 정의, 증상과 치료법 공황장애 증상과 치료법 *공황장애는 일종의 불안발적으로 신체적 증상이 동반되는 심리현상이자 질환입니다. 예고 없이 갑자기 찾아오기 때문에 대처할 수 없다는 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 유명 연예인들이 공황장애를 앓다고 있다면 공개하기도 했습니다. 일반인들도 공황장애를 호소하시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오늘은 공황장애가 무엇이고 어떤 증상들을 가지고 있는지, 치료법은 없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공황장애 정의 용어 공황장애 한자: 恐慌障碍 영어: panic disorder 공황장애는 불안발작으로 다양한 신체 증상들이 동반하여 나타나는 심적 불안장애 중 하나입니다. 공황장애의 용어는 그리스신화에서 왔습니다. 그리스신화에 염소의 신인 반인반수 판(pan)은 낮잠을 자는 동안 자신을 귀찮게 하면 극대노하여 가축과 .. 건강상식 2021. 5. 30.
탄수화물 종류와 식품 탄수화물(carbohydrate) 탄수화물은 우리 몸에 가장 필요한 3대 영양소에 들어갑니다. 3대 영양소는 우리의 몸에 에너지를 공급합니다. 즉 열량을 만들어냄으로 몸이 지탱하도록 돕습니다. 탄수화물은 당류 또는 단당류의 다양한 복합체로 신체의 주요한 에너지원입니다. 없어서는 안된 가장 중요한 것이며, 자동차의 연로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열량 : 4kcal/g 탄수화물의 종류 단당류 단당은 육탄당과 오탄당이 있다. 육탄당: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오탄당: 리보오스,디옥시리보오스, 아라비노오스, 자일로오스 이당류 이당류는 두 개의 단당류가 글리코사이드 결함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유당, 서당, 맥아당 올리고당류 올리고당은 단당이 3-10개로 결합되어 있다. 올리고당은 소화효소로 분해되지 .. 건강상식 2021. 5. 30.
림프계(lymphatic system) 림프계(lymphatic system) 림프계(lymphatic system)는 림프관, 림프샘, 비장 등의 기관들로 이루어진 순환계의 일종입니다. 림프계는 조직액인 림프를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림프액을 다른 말로 세고간질액이라 합니다. 림프계는 면역계의 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림프절과 흉선, 편도 등에서 림프구를 생산하여 가지고 있다가 림프액을 통해 들어온 세균이나 세포 부산물을 제거합니다. 또한 소장에서 흡수된 지방을 수집하여 혈액으로 전달하는 역할도 합니다. 림프계는 혈관과 동일하지는 않지만 혈관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림프계의 특징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림프관은 신체 대부분에 퍼져 있습니다. 림프관은 림프액을 수집하여 순환계의 정맥으로 연결되는 림프관으로 수송하는 .. 의학용어 2021. 5. 30.
비만(obesity)이란 무엇인가? 비만(obesity)이란 무엇인가? 비만이란 체지방이 정상에 비해 많은 상태를 말합니다. 비만은 신장에 비해 체중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저상체중, 과체중, 비만으로 분류합니다. 비만은 비만과 고도비만으로 분류합니다. 비만의 원인 비만은 섭취하는 칼로리 양이 소비하는 칼로리 양이 적을 때 일어납니다. 유전적 원인이 아닐 경우 비만은 먹는 음식이 많거나, 운동 등을 통해 칼로리가 소비되지 않을 때 생깁니다. 비만의 원인은 대체로 아래와 같습니다. 운동부족 과도한 음식물 섭취 섭식 장애(거식증, 폭식증) 대사 장애(대사증후군, metabolic syndrome) 스트레스 수면부족 호르몬 불균형(갑상선 항진증 등) 항정신제 복용 비만 진단법 비만은 체질량지수(BMI)에 의해 판단합니다. 체질량지수는 체중을 신.. 건강상식 2021. 5.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