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81

항암 치료 후 부작용 항암 치료 후 부작용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를 하고 나면 몸은 이루말할 수 없을 정도록 체력 저하가 일어납니다. 항암제나 방사선 자체가 세포를 파괴하는 것이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습니다. 1. 항암제의 기능 우리가 아는 항암제는 함암제마다 약간씩 다른 기전을 일으키지만 대체로 암세포를 공격하고 파괴합니다. 또는 암세포가 분열하는 효소를 분비하지 못하게 막는 항암제도 있습니다. 문제는 암세포만 공격하지 않고 일반 세포도 공격하기 때문에 많은 부작용이 크게 작게 일어납니다. 암마다 다른 부작용이 있기는 하지만 항암이나 방사선 후에는 이러한 증상들이 일어납니다. 센브란스 손주혁 교수 2. 항암의 부작용 1) 소화에 관련된 부작용 구토, 구역질, 변비, 설사, 식욕저하 등이 일어납니다. 항암제가 투여되.. 건강상식 2021. 7. 16.
암의 종류과 구분 암의 종류와 구분 암은 '암'이란 단어만 들어도 무섭고 답답합니다. 그만큼 암은 우리에게 공포를 심어주는 존재입니다. 그렇다면 암이 무엇이고, 왜 걸리는 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암이란 무엇인가? 암은 한자어로는 癌이렇게, 영어로는 Cancer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단어는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단어이고, 암에 대해 조금 깊이 들어가면 종양이라는 단어를 듣게 될 것입니다. 종양은 한마디로 '덩어리'입니다. 종양은 영어로 tumor이란 단어를 사용합니다. 이제 암이라는 단어보다는 종양이란 단어에 익숙해 지시기 바랍니다. 제가 그렇게 쓰겠다는 말이 아니라 개념을 이해하라는 말입니다. 하여튼 두 단어는 교차하면서 사용하겠습니다. 암이든 종양이든 정의를 해보겠습니다. 종양이란 세포가 과잉 .. 의학용어 2021. 7. 16.
염증에 좋은 식품 염증에 좋은 식품 커큐민은 항산화 성분이다, 커큐민은 체내에서 항산화 효소의 생성을 자극해 산화 스트레스(활성 산소)를 제거한다. 활성산소는 단백질ㆍ유전자(DNA) 등을 손상시키고, 오래 쌓이면 만성 염증을 유발한다. 항염증 효과가 있다. 항염증 작용이 높은 식품들 -수치는 항염증 수치이다. 가장 뛰어난 항염증 식품은 인도산 강황이며 울금도 거의 비슷한다. 강황(울금) -0.785 식이섬유 -0.663 녹차/홍차 -0536 생강 -0.453 비타민C -0.424 마늘 -0.412 양파 -0.301 강황(울금) -0.785 염증을 낮추는 최고의 식품은 단연코 강황이다. 강황은 커리의 주요 재료미여, 항염과 항산화 효과가 높은 커큐민이 다량 함유 되어 있다. 생강 생강의 진저롤과 쇼가올 성분은 염증을 잡는 .. 건강식품 2021. 7. 15.
롤론티스 건강보험 가시화 롤론티스 롤론티스는 한미제약의 첫 바이오신약으로 항암요법을 받은 환자들에게 일어나는 면역력 약화를 억제하는 사용된다. 롤론티스는 한미약품이 개발해 2012년 미국 제약기업 스펙트럼에 라이선스 아웃한 바이오신약이다. 국내에서는 ‘고형암 및 악성 림프종에 대한 세포독성 화학요법을 투여받는 환자에서 중증 호중구 감소증의 기간 감소’에 효능ㆍ효과가 있는 약제로 지난 3월 18일 허가된 바 있다. 약평위로부터 급여 적정성을 인정받은 롤론티스는 앞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과의 약가협상,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하면 약제급여목록에 등재된다. 반면 약평위는 ▲환인제약의 ‘제비닉스정(성분명 에슬리카르바제핀아세테이트)’ 2품목(200mg, 800mg) ▲테라젠이텍스의 ‘에프레논정(성분명 에플레레논)’ 2품목(25mg,.. 의약품 2021. 7. 15.
호장근의 효능 호장근 1. 정의 호장근은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2. 용어 한자명: 虎杖根 학명: Fallopia japonica 다른 이름으로 감제풀, 범승아, 반장근이 있다. 3. 자라는 환경 호장근은 습기가 있는 낮은 산지에서 자랍니다. 뿌리 줄기가 옆으로 자라면서 새싹이 돋아 포기를 형성합니다. 약 1m-1.5m 정도 자랍니다. 어릴 때 줄기가 호피를 닮았다하여 호장근이란 이름이 붙었습니다. 잎은 어긋나게 나며 넓은 창꼴이며 엽초 모양의 턱잎은 막질로 되어 이다. 꽃은 6-8월에 백색꽃이 핀다. 2가화이며, 원추 꽃차례로 달린다. 한방에서 뿌리를 호장근이라고 한다. 호장은 이뇨 작용과 통경제로 사용하며, 민간에서는 진정제로 사용한다. 울릉도에서 나오는 큰 크기인 호장근은 특별히 왕호장근이라 부른.. 약욕식물 2021. 7.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