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81 대장암 환자에게 좋은 음식 대장암 환자에게 좋은 음식 현미와 보리밥 현미와 보리는 섬유소가 적당히 들어가 있고 다양한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가 있습니다. 보리밥 안에는 베타글루칸이 풍부해 발암물질을 체외로 배출합니다. 또한 풍부한 식이섬유로 인해 장의 활동력을 높이고 장내에서 해로운 독소나 균들이 증식하지 못하게 막는 역할도 합니다. 보리밥에는 폴리페놀 성분이 있어 노화를 방지합니다. 양배추 양배추는 수술 전에는 괜찮지만, 수술 후라면 적게 드십시오. 안 먹는 것보다는 낫지만 적당히 먹어야 좋습니다. 과하게 먹으면 대장에 무리가 갑니다. 만약 암이 아닌 종양 정도에 머물러 있다면 양배추는 적극적으로 드시기 바랍니다. 양배추에는 셀레늄과 베타카로틴 등 항산화 성분이 다량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항산화 성분은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면역.. 건강식품 2021. 7. 8. 더보기 ›› 카로티노이드(carotinoid) 카로티노이드(carotinoid) 1. 카로티노이드 개요 카로티노이드는 광합성을 돕고 자외선의 유해 작용을 막는 식물의 색소이다. 테트라테르페노이드(tetraterpenoid)으로 불리기도 한다. 테트라테르페노이드는 4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고있다. 탄소 원자 10개를 가지고 있는 테르펜(terpene) 4개로 이루어져 있다. 이 글은 파이토알렉신 phytoalexin에서 넘어왔다. 카로티노이드는 파이토알렉신의 일종이다. 산소를 가지고 있는 잔토필(크산토필)은 루테인과 제아잔틴이 있고, 산소가 없는 카로티노이드는 알파카로틴, 베타카로틴, 라오펜과 같은 카로틴이 있다. 카로틴류(Carotine) 루테인, 제아잔틴, 비올라잔틴 크산토필류(Xanthophyll) β-카로틴, 감마카로틴, 라이코핀 카로티노이드는.. 의학용어 2021. 7. 8. 더보기 ›› 알파카로틴(α-Carotene) 알파카로틴(α-Carotene) 알파카로틴의 카로틴의 일종이다. 한쪽 끝은 베타 이오논 고리이고, 다른 쪽은 알파 이오논 고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오논 고리를 통해 알파카로틴은 레티놀로 변형된다. 레티날로 변형되는 효소를 가진 초식동물과 잡식(사람 등) 동물은 비타민A로 만든다. 비타민 A는 야맹증을 방지하고 안구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알파카로틴은 베타카로틴과 더불어 비슷한 작용을 하지만 심혈관 계통 질환에는 베타카로틴보다 알파카로틴이 훨씬 좋은 효과가 있다. 알파카로틴을 주기적으로 섭취할 경우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을 낯춘다. 특히 전립선 암 예방에도 도움을 주며, 안구질환에 관련된 질병에도 도움을 준다. 미국 국립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리차오양(Chaoyang Li) 박사의 연구에 의하면 알파카로.. 건강식품 2021. 7. 8. 더보기 ›› 올리고당의 종류와 기능 올리고당의 종류와 기능 1. 정의 올리고당은 3-10개의 단당류로 구성되어 있다. '올리고'는 '적다'는 뜻이다. 한자로 올리고당을 소당이라고 표현하기도 하지만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올리고당은 평온에서 액체로 존재한다. 다당류에 속하기 때문에 소화가 잘 되지 않는다. 단당이나 이당의 경우 흡수속도가 굉장히 빨라 나쁜 당으로 이해된다. 단당의 대표적인 설탕은 먹는 즉시 흡수되어 혈중 당 수치를 높인다. 당뇨에 걸린 이들이 당이 떨어졌을 때 사탕을 먹는 이유는 떨어진 당을 빠르게 올려 주기 때문이다. 최근들어 올리고당이 프리바이오틱스로서의 주목을 받고 있다. 올리고당은 위이나 소장에서 분해되지 않고 대장까지 내려가서 소화 효소에 의해 일부만 분해되기 때문에 당을 높이지 않는다. 또한 유산균을 증식을 도와 .. 건강식품 2021. 7. 8. 더보기 ›› 아미노산의 종류와 기능 아미노산의 종류와 기능 필수 아미노산(essential amino acid) 필수 아미노산은 생물의 몸 안에서 전구 물질로부터 합성할 수 없는 아미노산으로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한다. 라이신(Lysine) 트레오닌(Threonine) 류신(Leucine 로이신 또는 루신) 이소류신(Isoleucine 아이소류신) 발린(Valine) 메티오닌(Methion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트립토판(Tryptophan) 성장기에 필요한 아미노산 시스테인 티로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준필수(조건부) 아미노산 체내에서 합성되기를 하지만 양이 충분하지 않아 음식을 통해 추가적으로 섭취해야 하는 아미노산이다. 글루타민 글리신 시스테인 아르기닌 세린 티로신 프롤린 의학용어 2021. 7. 7.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 60 61 62 63 64 65 66 ··· 77 다음